top of page

제9회 포럼
주제 : 미세플라스틱과 건강
2022년 8월 11일 16:00
![2. [두번째연사] 정진영 교수.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06e42a_a111cc77dd7a4a9f9e9d69f999e5f49f~mv2.jpg/v1/fill/w_299,h_399,al_c,q_80,usm_0.66_1.00_0.01,enc_auto/2_%20%5B%EB%91%90%EB%B2%88%EC%A7%B8%EC%97%B0%EC%82%AC%5D%20%EC%A0%95%EC%A7%84%EC%98%81%20%EA%B5%90%EC%88%98.jpg)
SESSION 1
정진영 교수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현) UST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스쿨 교수
(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
UST 나노바이오공학 박사
강연 다시보기
최근 플라스틱 판데믹 시대에 부산물로 나타난 미세플라스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미세플라스틱는 정의와 분류, 그리고 발생원인과 환경과 인체에 얼마나 노출되었는지 최신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1. [첫번째 연사] 김진수 교수.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06e42a_7666c3e26b3e47659635191405abc52a~mv2.jpg/v1/crop/x_1117,y_1649,w_2541,h_3385/fill/w_300,h_400,al_c,q_80,usm_0.66_1.00_0.01,enc_auto/1_%20%5B%EC%B2%AB%EB%B2%88%EC%A7%B8%20%EC%97%B0%EC%82%AC%5D%20%EA%B9%80%EC%A7%84%EC%88%98%20%EA%B5%90%EC%88%98.jpg)
SESSION 2
김진수 교수 |
한국원자력의학원
(현) UST 한국원자력의학원 스쿨 전공책임교수(방사선종양의과학)
(전) 미국 국립보건원(NIH) 연구원
서울대학교 방사선응용생명과학전공 박사
강연 다시보기
사람의 혈액 중에 플라스틱이 검출된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플라스틱은 생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오늘 강연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했을 때 어디로 플라스틱이 이동하는지, 뇌로 이동한 플라스틱이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유발할 수 있을 가능성, 위에 노출된 플라스틱이 위암 치료 시 약물 저항성을 유발할 수 있을 가능성 등 흥미로운 최근 연구 결과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현장스케치
SKETCH VIDEO
bottom of page